[사설]국경 검역수준 방역체계 서둘러 구축해야

[사설]국경 검역수준 방역체계 서둘러 구축해야
  • 입력 : 2017. 06.28(수) 00:00
  • 김병준 기자 bjkim@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지난 겨울 전국을 휩쓸었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한동안 홍역을 치렀다. 자고 나면 AI가 발생할 정도로 빠르게 확산되면서다. 가축전염병이 무서운 속도로 퍼지면서 엄청난 피해를 불렀다. 당시 AI로 전국 946 농가에서 3787만 마리의 닭·오리·메추리가 살처분됐다. 전국의 가금농가를 거의 쑥대밭으로 만들어 버렸다.

제주에서도 이달초 AI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전국으로 확산됐던 AI 파동에도 도내 농가에선 발생하지 않았다. 그랬는데 정부가 AI 종식을 선언하자마자 제주도의 방역망이 허망하게 뚫린 것이다. 전국을 강타했던 AI의 공포가 다시 엄습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클 수밖에 없었다. 전북 군산 종계장에서 시작한 AI사태로 제주 역시 막대한 피해를 봤다. 지난 2일 '토종닭 5마리가 폐사했다'는 첫 신고가 접수된 다음날부터 닷새동안 도내 34곳에서 14만5095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됐다. 도내 전체 가금류 183만 마리 가운데 8%가 5일만에 사라졌다.

그래도 제주를 덮친 AI가 사실상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어 다행이다. 비록 길지 않은 짧은 기간이지만 제주에 큰 상처와 교훈을 남겼다. 현재의 방역체계로는 가축전염병을 막을 수 없다는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이번 AI사태는 전국적으로 AI 이동제한조치가 해제된 지 한 달도 안돼 발생했다. 문제는 AI 이동제한이 풀린 상황에서는 제주로 들어오는 가금류가 고병원성 AI를 지녔다해도 방역당국이 이를 걸러낼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국경 검역 수준의 독자적 방역체계를 구축하려는 이유다.

제주도가 이번 AI사태를 계기로 한층 강화된 방역체계 구축에 나서서 주목된다.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힌 상태다. 제주도는 다른 지역의 축산물에 대해선 '이상 없다'는 해당 시·도 방역기관의 증명을 받아야 도내 반입을 허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외국에서 축산물이나 수산물을 수입하려면 해당 국가의 공식기관이 발행한 검역증명서가 필요한 것처럼 이같은 검역제도를 제주에 도입하겠다는게 골자다. 이미 뼈저리게 느꼈듯이 양축농가에 전염병이 돌기 시작하면 엄청난 대가를 치른다. 때문에 방역시스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44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