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안전도시' 재인증 추진… 실효성 의문

'국제안전도시' 재인증 추진… 실효성 의문
실질적 혜택 적고 도민들 체감 인지도 역시 미미
원주시 등 다른 지역은 예산 문제로 재인증 포기
제주도 "인증이 없더라도 어차피 쓰여지는 예산"
  • 입력 : 2017. 02.23(목) 18:10
  • 송은범기자 seb1119@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제주도가 세계적인 안전도시를 만든다는 취지로 국제보건기구(WHO)의 국제안전도시 재인증 취득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일고 있다.

 WHO 인증 국제안전도시란 사고에 의한 부상·사망 등 인명 피해를 줄여 도시의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뜻한다. 인증 절차는 WHO 지역사회안전증진협력센터 스웨덴 연구소가 해당 도시의 안전사고 피해율 등을 심사해 결정하게 된다.

 제주도는 지난 2007년과 2012년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은데 이어 올해 전국 최초로 3차 공인을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5일에는 '제주국제안전도시 정착을 위한 사고예방 프로그램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운영계획을 살펴보면 화재, 관광, 스포츠, 사업장 등 10개 분야 100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10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려면 적지 않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데 비해 실질적으로 부여되는 혜택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인증을 받은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도민들의 체감 인지도가 미미한 것도 한 요인이다.

 실제 지난 2009년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은 강원도 원주시의 경우 5년 마다 갱신하는 인증 절차를 포기했다. 매번 인증때 마다 1억원 이상 소요되는 비용을 차라리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쓰겠다는 것이다.

 원주시 관계자는 "인증을 받았다고 해서 특별한 혜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시민들의 반응도 시큰둥 했다"며 "인증 절차에 쓰이는 예산을 차라리 안전 관련 예산으로 돌리는 것이 오히려 적합하다고 생각해 재인증을 포기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지난 2014년 인천발전연구원에서 발표한 '인천광역시 국제안전도시 공인을 위한 준비와 대응 과제'에서는 "국제안전도시 공인에는 최소 4년 여 기간 동안 많은 인력과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돼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 관계자는 "프로그램 대부분이 국제안전도시 인증이 아니라도 시행되는 정책이기 때문에 단순히 비용과 인력 문제를 거론하기에는 부적절하다"며 "3년 연속 인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관광산업과 도민 삶의 질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WHO가 인증한 국제안전도시는 서울시 송파구,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등 국내외 360곳이 넘는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5661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