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상시수거 체계 전환

해양쓰레기 상시수거 체계 전환
제주 전국최초 해양환경미화원 도입
공공근로·마을자생단체 의존 역부족
  • 입력 : 2016. 08.31(수) 18:26
  • 채해원 기자 seawon@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공공근로자들이 해변에 밀려온 쓰레기를 수거해 모아놓은 모습. 강경민기자

제주도는 전국 최초로 해양환경미화원을 도입을 추진한다. 마을자생단체에 의존하지 않고 행정당국이 직접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기로 한 것이다.

 제주도는 해양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해양환경미화원을 도입, 상시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할 계획이다. 지형적으로 해양쓰레기가 많이 밀려오는 곳이나 해수욕장, 관광지 등에 전담인력을 투입한다는 구상이다. 읍·면과 같이 넓은 지역의 해변쓰레기를 소수의 공공근로자가 수거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관광지 등 좁은 지역을 고정인력이 집중 전담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사업 구상단계인 만큼 공공근로 형태로 전담인력을 확보하되 노동강도, 안전성을 고려 다른 공공근로사업보다 인건비를 높게 책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도는 최종적으로 환경미화원 제도와 같이 확대할 생각도 갖고 있지만, 이를 본격화하기 위해선 관련예산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3년간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8281t, 2014년 7250t, 2015년 1만4475t으로 연평균 약 9000t의 해양쓰레기가 수거되고 있다. 제주도는 연평균 쓰레기 수거량을 바탕으로 해양쓰레기 발생량을 유추한 결과 제주인근에서는 약 2만여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작년에 발생한 해양쓰레기 중 해안에서 수거된 쓰레기는 약 94%에 달했다.

 이처럼 대부분의 해양쓰레기가 해안에서 수거됨에 제주도는 작년 제주시 12억5900만원, 서귀포시 10억9300만원을 투입, 폐기물수거업체·공공근로사업을 통해 해안변을 청소했다. 각 읍면동에 배정된 8~10명 정도의 공공근로자가 읍내 모든 해안변을 돌아다니며 쓰레기를 모아두면 각 읍면동이 해당쓰레기를 집하장으로 보내고, 이를 폐기물 수거업체가 처리업체로 실어나르는 방식이다.

 그러나 공공근로사업의 경우 광범위한 범위, 높은 노령층 비율로 해양쓰레기 민원에 적극 대처하기 어려웠고, 청년회, 부녀회 등 마을자생단체가 자발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지만 정기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기엔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밀려온 해양쓰레기로 제주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해안쓰레기 수거 체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돼 왔다. 이에 제주도는 해양환경미화원을 배치함으로써 정기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체계를 만들어 갈 예정이다.

 이와 관련 제주도 관계자는 "2017년도 본예산에 해양환경미화원 배치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면서 "확보되는 예산에 따라 배치 지역이나 선발인원, 근무기간 등이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3488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