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초유사태 극복 모두가 함께 해야

돼지열병 초유사태 극복 모두가 함께 해야
  • 입력 : 2016. 07.01(금) 00:00
  • 편집부 기자 hl@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가축 전염병 청정제주에 비상이 걸렸다. 다른 지방 구제역 창궐시에도 철통 같은 방어망으로 끄떡 없던 제주에 구멍이 생기고 만 것이다. 1999년 돼지 열병 청정지역으로 선포된 이후 18년만에 닥친 불명예다. 자칫 청정지역 지위가 추락할 위험에 있어 도와 관계당국의 철저한 방역과 역학조사 그리고 추가발생을 막을 선제적 대응이 요구된다.

제주도에 따르면 금악리 한 양돈농가에서 출하된 돼지 중에서 열병이 발생했다. 도는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3㎞ 이내 위험지역과 반경 3~10㎞ 경계지역으로 방역대를 설정, 통제초소 운영과 집중방역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번 열병을 일으킨 야외바이러스는 중국 것과 99.5%나 일치한다. 정밀 역학조사를 해봐야 하겠지만 사실상 제주 공·항만 방역망이 뚫린 것이나 다름없다.

돼지열병은 법정 1종 가축전염병으로서 고열과 피부발진, 설사 등 증상으로 전염과 치사율이 높다. 도는 도축장에서 열병 돼지가 발생된 만큼 당시 예냉실에 보관된 3393마리 지육 폐기와 도축 대기중인 924마리, 해당 농가의 423마리도 살처분했다. 총 4740마리, 20억원에 상당한다.

문제는 방역대 내 농가 154호(위험지역 65호, 경계지역 89호)에서 27만2000두가 사육된다는 점이다. 도 전체 사육두수 절반이 열병 방역대 내에 포함된 셈이다. 여차하면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 날벼락 같은 돼지 열병 소식에 방역대에 발묶인 농가들은 한마디로 멘붕 상태다. 그도 그럴것이 출하가 늦어지만 상품성이 떨어지고 사료비 증가 등 3중고에 시달릴게 뻔해서다.

도는 전 양돈농가 시설·장비소독과 역학조사 등을 통해 조속히 비상체제를 끝내기로 했다. 방역대 내의 이동제한 등은 확산방지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농가의 한숨이 피눈물로 변하지 않도록 도차원의 후속조치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향후 3주가 확산방지의 고비라고 한다. 농가들은 당장 눈앞이 캄캄하겠지만 더 큰 화를 막기 위해 도의 방침에 적극 협조해야 될 것이다. 모두가 함께 하면 이 또한 지나가고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이 난세엔 모두가 하나되는 일밖에 없다. 재발방지와 대응매뉴얼 강화, 전화위복의 계기가 돼야 한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7620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