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팽창' 위주 개발로는 도시재생 어렵다

[사설]'팽창' 위주 개발로는 도시재생 어렵다
  • 입력 : 2014. 11.19(수) 00:00
  • 글자크기
  • 글자크기
서울시 영등포구가 며칠 전 도시재생계획 주민설명회를 가졌다. 광주시민들은 경남 동피랑 벽화마을과 합포구 창동예술촌 등을 탐방하며 도시재생의 방향을 모색했다.

도시재생사업은 대부분 도시들이 안고 있는 숙명적 과제다. 인구가 교외로 이주하면서 도심이 시나브로 공동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어난 몸집을 감당하기 어려운 도시도 한 두 곳이 아니다.

부산시는 '컴팩트 시티(Compact City)'에서 실마리를 찾는다. 고밀도 개발을 통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적 효율성과 자연환경 보전을 추구하는 도시개발 형태다. 화성시도 '컴팩트 시티 연구 대상도시' 선정을 계기로 정책 변화를 모색중이다.

미국의 시애틀은 도심재생에 성공한 대표적인 도시다. 시애틀이 도심 재개발로 눈을 돌린 것은 수평적인 도시 팽창에 한계를 절감했기 때문이다. 도심 슬럼화 방지, 주거지 개발에 따른 자연훼손 방지 등도 눈을 돌린 이유 중 하나였다. 밤이면 적막강산으로 변하던 도심은 이제 젊은 여피족과 부유한 실버계층이 노니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제주시 원도심 활성화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10여년 사이 관련 용역만 10여 차례 시행됐지만 지향점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칠성로에 아케이드가 설치되는 등 도로·건물의 외양이 조금 바뀌긴 했으나 인프라 확충 중심의 도시재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혼란 와중에 옛 제주시청사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 건물 등 건축유산들도 사라져 갔다.

일본은 2007년부터 도시 외곽의 대형 쇼핑몰 설립을 금지하고 있다. 대규모 상업시설 및 시민회관·종합운동장 같은 공공시설과 병원, 대학까지 교외에 들어서지 못하도록 정책을 변경했다.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부 중소도시들의 인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등 효과를 거두고 있다. 제주자치도의 도시개발 정책은 여전히 '팽창' '확장' 위주다. 소중한 문화유산에도 별반 관심이 없어 보인다. 개발 광풍의 추억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한 듯 싶다. 일대 전환 없이는 각종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재앙이나 파국을 부를 개연성 마저 높다. 도심 공동화는 잘못된, 시대 착오적인 정책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576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