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라일보] 오영훈 도지사가 제주형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문제점을 인정했다. 사전에 충분한 준비 없이 성급히 BRT를 추진했다는 세간의 지적을 사실상 수용했다. 오 지사는 지난 14일 열린 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도민 공감대 없이 BRT가 추진됐다는 정민구 의원의 지적에 대해 "좀 더 살펴봐야 하는 것이 있는데 놓친 것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BRT 사업은 보완이 필요하고 부족했던 부분은 도민들에게 양해를 구한다고 밝혔다. BRT 사업의 확대 계획을 보류한 이유는 버스가 광양사거리에서 제주대학교 방면으로 우회전 할 때 발생하는 교통 혼잡이다. 제주대 방면으로 가려면 1차로에서 2·3·4차로로 순차적으로 진입해야 하는데 1차로와 4차로까지 거리가 짧아 무리한 차선 변경에 따른 사고 위험이 높고 교통 혼잡 문제도 있다는 것이다. 또 시외버스가 양문형 버스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을 시작한 점도 잘못됐음을 인정했다. 양문형 버스가 확보되기 전인 2026년 말까지는 도민불편이 따르기 때문에 BRT 확대 계획을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오 지사가 BRT 사업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도민들의 양해를 구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BRT 사업에 대해 원점에서 도민들의 폭넓은 의견수렴과 확대될 노선에 대한 세밀한 현장검증을 통해 두 번 다시 시행착오가 없어야 한다. 특히 BRT 구간을 운행하는 자가용 운전자들의 불만이 큰 만큼 이들의 의견을 청취해 다음 사업에 반영해야 한다. BRT 사업의 성과는 성과대로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