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라일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을 등치려는 노쇼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검거율이 낮아 유사행위가 반복될 우려를 낳고 있다. 최근 도내 한 소상공인은 제주도교육청 공무원이라고 신분을 밝힌 인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교육청 내 에어컨 청소 견적과 함께 선납부를 요청하며 교육청 명의의 구매확약서 공문을 보내왔다. 의심을 한 소상공인이 교육청에 확인한 결과 이 공문은 위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공문에는 김광수 현 교육감을 교육행정국장으로 명시했으며 '제주교육청감'이라는 기관명과 함께 존재하지 않는 기관 직인이 날인됐다. 같이 보낸 명함의 직원 역시 교육청에 근무하지 하지 않아 위조된 명함이었다. 사칭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광복절 연휴 기간에도 도내 가구업체와 CCTV업체를 대상으로 유사한 수법의 사기행각이 벌어졌다. 타 업체 물품을 대신 결제해주면 납품 후 대금을 지급하겠다며 허위 계좌로 선입금을 요구한 것이다. 다행히 업체들이 교육청에 사실여부를 확인해 피해를 모면할 수 있었다. 또 최근에는 제주대학교병원 의료진을 사칭한 노쇼 사기 행각이 횡행하고 있다. 병원 교수를 사칭한 명함을 이용해 물품을 대량 주문하거나 식당에 단체 예약을 하는 등 노쇼 사기가 3건이나 발생했다. 노쇼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문 사실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공식절차를 거치지 않은 문서와 전화를 받을 경우 일단 의심을 하고 해당기관에 확인해야 한다. 경찰도 서민을 울리는 노쇼 사기범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하여 검거하고 엄벌해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