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교육
시범사업부터 전면시행까지... 제주형 유보통합 로드맵 공개
24일 제주유보통합 기반 마련 정책 연구 최종 보고회
행·재정적 이관 특수성 고려한 4단계 이행 전략 발표
제주도교육청 내 가칭 '영유아교육과' 조직 구성안도
김채현 기자 hakch@ihalla.com
입력 : 2025. 07.24. 17:34:57

24일 제주도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제주 유보통합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강희만기자

[한라일보]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한 이른바 '제주형 유보통합' 추진을 위한 로드맵이 공개됐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24일 도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제주 유보통합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연구는 제주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했으며, 연구진은 제주특별법에 따른 행정·재정 이관 특수성과 도서지역 중심의 분산 특성을 고려한 제주형 유보통합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유보통합 전담조직 신설을 비롯해 시범사업 운영, 법·제도 기반 조성, 정책 확산, 전면 전환 등 4단계 이행 로드맵을 발표했다. 현재 도내에서는 5개 기관이 영유아학교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제주형 영유아학교'는 단순 통합을 넘어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운영 모델로 설계됐다.

연구진은 이러한 '제주형 영유아학교'를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각 2곳씩 총 4개 기관을 선정해 시범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교사 공동 수업(팀티칭)과 교사 연수, 월 2회 현장 방문 지원 등을 통해 유치원과 보육교사 간 협력과 통합 기반을 마련한다.

2단계에서는 제주특별법 개정을 통한 통합특례 조항 신설과 제주형 영유아학교 설치·운영 조례 제정, 교육청-도청 간 협약 체결이 포함된다. 이와함께 유보통합추진단과 자문위원회 운영, 유보통합 특별회계 설치 등의 내용도 담겼다.

3단계는 정책 확산 단계로 지역별 거점기관을 중심으로 제주형 교육과정이 개발 및 적용되며, 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의무화, 평가 및 컨설팅 체계 구축, 특수교육 지원 체계 통합, 다문화·취약계층 맞춤 지원 체계가 마련된다. 또 가칭 '영유아교육보육진흥원'의 기능도 확대된다.

4단계에 이르면 도내 모든 기관이 제주형 영유아학교로 전환된다. 자격기준과 운영 기준의 단일화를 통해 제주형 통합모델이 완성되며, 향후 전국 확산과 국제 교류프로그램 개발 등 지속가능한 운영 체계로 이어진다는 구상이다.

이날 보고회에서 도교육청의 가칭 '영유아교육과' 조직 구성안도 공개했다. 영유아교육과(과장) 내 영유아 교육기획·교육과정·교원 인사·교육기관 평가·교(보)육 행정지원Ⅰ, 교(보)육 행정지원Ⅱ, 운영점검지원 등 세부조직이 있으며, 각 총괄은 장학관이 맡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제주지역 유보통합은 도서지역 분산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서비스 제공과 저출산 대응을 위한 기관 간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통합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간 인식 차이, 교육부와 복지부로 이원화된 행정 구조, 기관 간 서비스 질 편차 등 현장의 문제를 해소하려면, 점진적이고 지역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담 TF 구성, 교사 전문성 개발,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중심으로 제주형 모델을 안정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현장에서는 시범기관 확대 여부와 통합 실행 시점 등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정부조직법 개정 당시 2026년 단계 확대가 예정됐지만, 계획대로 현재 시행되지 않았다"면서 "교육부의 구체적 시행 계획이 정해지지 않아 제주의 경우에도 확대 시점과 규모를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