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년 구상나무 암꽃 개화.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공 [한라일보] 한라산 구상나무 암꽃 개화 주기가 3년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구상나무 자생지 현장 조사를 통해 개화 주기가 3년으로 처음 확인됐다"고 14일 밝혔다. 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2022년부터 구상나무 개화와 결실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영실, 성판악, 왕관릉, 방애오름, 윗세오름, 백록샘, 큰두레왓 등 7개 지역 10개소에서 식생·환경 변화를 살피기 위해 100개체의 구상나무를 조사목으로 선정했다. 조사 결과 2022년에는 구상나무 한 그루에 암꽃(암구화수)이 평균 120개 달렸고 2023년 평균 8.8개, 2024년 평균 13.9개가 각각 확인됐다. 올해는 평균 106.4개의 암꽃이 개화해 3년 주기 패턴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윗세오름과 방애오름에서 개화 주기가 뚜렷했다. 윗세오름은 2022년 120.6개, 2023년 4개, 2024년 37.8개, 2025년 129.6개이고 방애오름은 2022년 117개, 2023년 36.6개, 2024년 10.8개, 2025년 123.8개로 나타났다. 반면 영실은 2022년 94.6개, 2023년 11.4개, 2024년 25.2개, 2025년 44.6개였고 큰두레왓은 2022년 163.2개, 2023년 5.4개, 2024년 9.8개, 2025년 45개로 그루당 평균 개화 주기가 다른 지역과 차이가 났다. 조사목 중에서 개화하지 않은 구상나무 비율은 2022년 25%, 2023년 52%, 2024년 39%에 이어 올해는 10%로 조사됐다. 도 세계유산본부는 기후 변화 등으로 구상나무 개체 수와 면적이 감소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보전을 위해 종자 결실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이에 구상나무 개화 주기, 종자 결실, 충실률과 발아율 연구와 함께 구과 해충 발생률과 피해율 조사를 벌이고 있다. 고종석 도 세계유산본부장은 "한라산 구상나무 쇠퇴와 고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종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는 특히 구상나무 생활사 규명과 보전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