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라포커스] 2학기부터 시작되는 제주도교육청 ‘농어촌 유학’
"도심 떠나 마을로"… 초등 8개교 시범 운영
김채현 기자 hakch@ihalla.com
입력 : 2025. 07.10. 18:36:00

지난 2월 제주도교육청이 개최한 제주 농어촌 유학 설명회. 한라일보 DB

학령인구 감소·지역 소멸위기 극복 전략 사업 ‘주목’
‘가족 체류형’으로 전국에서 29가구·45명 참여 확정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오는 2학기부터 도심 지역 학생이 농어촌 학교에서 일정 기간 생활하며 공부하는 '농어촌 유학' 을 본격 도입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농어촌 학교에는 활력을 불어넣고, 도심 청소년들에게는 자연에서 성장할 기회를 부여해 수도권 과밀학급 문제를 완화하려는 취지다.

▶학령인구 감소 대응…"지역 소멸 극복"=제주도교육청이 지난해 9월 발표한 '2025~2029학년도 초·중·고·특수 중기학생배치계획에 따르면 도내 초등학생 수는 매년 5~8%씩 줄어들어, 2029년에는 2024학년도(3만8671명)보다 29.5% 감소한 2만7278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학급당 학생 수도 원도심·읍면·자율학교는 27명에서 20명, 동지역은 29명에서 21명으로 단계적 조정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이러한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위기 극복을 위한 전략의 하나로, 농어촌 유학사업을 꺼내들었다. 선택한 유형은 '가족체류형'으로 보호자와 함께 해당 지역에 전입해 학생이 배정받은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방식이다.

올해 시범사업 대상은 제주시 4개교, 서귀포시 4개교 등 총 8개 초등학교이다. 모두 전교생이 60명 이하인 농어촌 소규모학교로, 상당수가 복식학급 편성 위기에 놓여 있었다. 도교육청은 총 31가구를 모집한 결과 전국에서 29가구 45명의 학생이 참여를 확정했으며, 나머지 2가구(송당초)는 추가 모집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상당수 학교에서 단일학급 운영이 가능해졌다고 도교육청은 설명했다.

▶"살 곳이 있어야 유학도 가능"…주거 연계 핵심=농어촌 유학의 핵심은 안정적인 주거 기반이다. 도교육청은 유학 가족이 거주할 수 있는 지역 내 유휴 주택을 발굴하고, 마을회나 학교 측과 협의해 빈집 등을 유학생 주거지로 연계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주거비와 생활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학 경비를 월 단위로 지원한다. 유학생이 1명이면 월 30만원, 2명이면 40만원, 3명이면 50만원이 지급된다. 또한 서울시교육청과의 협약에 따라 서울지역 학생이 제주로 유학을 올 경우 지원 금액은 각각 60만원, 80만원, 100만원으로 2배 확대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유학은 단순히 전학을 유도하는 것만이 아닌 가족 단위의 지역 정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주거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참여가 어렵다"면서 "실제 입주 가능한 주택을 확보한 지역부터 사업에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확대 걸림돌은 '거주 공간'…지자체 협력 필요=다만 농촌 지역에 장기 거주가 가능한 빈집이 부족하다는 점은 유학 확대의 현실적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 유학생이 중학교로 진학할 경우, 유학을 계속 이어가려면 사업 대상 중학교에 진학해야 하지만, 도내 중학교 상당수는 주변에 거주 가능한 주택이 확보되지 않아 연속적 유학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초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도심으로 복귀하는 사례도 우려된다. 일각에서는 빈집 정비, 공공임대 연계, 지역 주택 공급 등 주거 기반이 마련되지 않으면 유학 수요만으로는 정책을 지속하기 어렵다며 지자체 차원에서의 적극적 주거 연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1차 신청 초기부터 학부모들의 관심이 뜨거웠다"면서 "현재 중학교나 일부 초등학교 같은 경우에는 사업에 참여하고 싶어도 주거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2학기 사업의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향후 보완 방안을 마련하고 사업이 원활히 확대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채현기자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