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축막(軸幕), 뉴악으로 표기 왜 어려운 한자를 동원해야 했나? 웃바메기오름의 위치는 조천읍 선흘리 산84번지다. 표고 416.8m, 자체높이는 137m이다. 마을에서는 보통 바메기(웃바매기, 알바매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밤알을 밤애기로 표현한 것이 바매기가 되지 않았나 하는 추측에서 온 것이다. 어느 오름 관련 연구서의 내용이다. 이처럼 밤 모양을 닮아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명이 대세다. 이에 동의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고전에는 어떻게 기록했나?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1530년 이래 수많은 역사서에 기록됐다. 중복되는 이름을 제외한 명칭은 밤오름, 소마기악(所磨其岳), 소막니악(所幕尼岳), 야막기(夜漠只), 율악(栗岳), 축막(軸幕), 파메기악(破塺只岳), 하뉴악 등 8개로 요약된다. 네이버 지도에 '윗밤오름', 카카오 지도에 '웃밤'으로 표기했다. ![]() 바메기오름, 앞에 보이는 오름을 웃바메기오름, 왼쪽 멀리 보이는 오름을 알바메기오름이라 부른다. 김찬수 율악(栗岳)은 훈가자 율(栗) 즉, '밤'과 오름 악(岳)으로 구성한 것이므로 바메기를 밤(栗)과 연관시킨 훈가자라 할 수 있다. 축막(軸幕)은 축(軸)의 훈이 바퀴 굴대이므로 바퀴 굴대의 첫 음 '바'만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막(幕)은 바메기의 메기를 나타내려고 쓴 것이므로 음가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훈가자와 음가자 결합표기다. 바메기는 밤과 무관, 샘을 지시하는 미, 메, 매 지명의 하나 파메기악(破塺只岳)은 한자의 뜻과는 무관하게 음만을 동원한 것이므로 음가자 지명이다. 뉴악의 뉴 역시 바퀴 굴대이므로 바메기 훈가자와 훈독자 결합표기라 할 수 있다. 이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밤(栗)과는 무관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바메기가 명백히 밤(栗)을 지시하는 내용이라면 이렇게 어렵게 표기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이 오름이 밤을 닮은 것도 아니고 밤나무가 많은 것도 아니다. 그 어떤 면으로 보더라도 밤과는 연관이 없다. ![]() 웃바메기오름 샘, 분화구에서 샘이 솟는다. 지금은 많이 줄었으나 과거에는 수량이 풍부했었다고 한다. 김찬수 사실 바메기의 지명은 '바+메+기'의 구조다. 여기서 '기'는 지명 접미사다. 흔히 지(只), 기(己), 지(支), 기(岐)로 나타나는데 이 한자 표기들은 모두 똑같이 '기'로 발음한다. '메'는 앞서 설명한 '물'의 의미다. 제주어에서 미, 메, 매 등은 산을 의미한다는 주장을 흔히 접하게 되지만, 이들은 모두 물, 그중에서도 샘을 의미한다. 샘이 솟아나는 기울어진 오름, 중요한 건 샘이다 큰바메기오름은 인근에 벵듸못을 비롯한 커다란 호수들을 거느리고 있다. 분화구에는 수량이 풍부한 샘이 솟아나고 이 물이 못을 형성한다. 바메기의 '메'는 바로 이 샘을 가리킨다. 나머지 문제는 밤에 있다. 바메기오름은 한쪽으로 심히 기울어진 형태다. 이같이 산이나 언덕이 한쪽으로 몹시 가파르게 기울어진 곳을 비탈이라 한다. 비탈은 어원적으로 볼 때 비스/비사/빗-(橫/斜)에 높은 곳을 뜻하는 '-달'의 복합어다. 이 비스/빗은 바로 곧지 않게, 가로 비스듬히 라는 뜻이다. 이런 형태의 산이면서 샘을 가졌으니 원래 '빗매기'였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흔히 접두어처럼 쓰이는 '빗'은 고어형이 '비ㅅ'이고, 이 말은 소급형이 '비△'이다. 이는 음운의 변화로 '비△ㅏ'가 되고, 여기에 '메'가 붙게 되면 '비△ㅏ+ㅅ메'가 된다. 이 발음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비앗메>바메'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 김찬수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이와 관련한 지명들은 제주도 내에 산재한다. 한 예로 '비애기골'이 있다. 서귀포시 상효동 1132번지 지경이다. 이곳은 모래기도 능선에서 하례2리 방향으로 심히 기울어져 골짜기를 이룬다. 지역에서는 '비애기골', '비학이골' 등으로 부른다. 풍수사들은 금계포란형이라면서 명당의 하나라고 그럴듯하게 설명하기도 한다. 비애기에서 병아리를 연상한 결과다. 그러나 이 이름은 '비△ㅏ기골'에서 유래한 것이다. 심히 기울어진 골짜기라는 뜻이다. 이처럼 바메기오름은 밤(栗)과 관련이 없다. 심히 기울어진 샘 오름이란 뜻이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