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영화 '파워 오브 도그' 영화 '피아노', '여인의 초상' 등을 만들었던 여성 감독 제인 캠피온의 신작 '파워 오브 도그'가 최근 열린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극영화 부문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제인 캠피온이 전작인 '브라이트닝 스타' 이후 무려 12년 만에 선보인 이 작품은 지난해 베니스국제영화제 은사자상 감독상을 수상한데 이어 또 한 번의 수상 낭보를 전하며 오는 3월 말 열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파워 오브 도그'는 '결혼 이야기', '아이리시 맨', '로마' 등의 작품을 잇따라 선보이며 제작사로서의 파워와 신뢰를 쌓아가고 있는 OTT서비스 넷플릭스의 라인업이기도 하다. 안방극장 시청자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호사이지만 '파워 오브 도그'는 안방에서 관람하기엔 좀 아까운 작품이다. 제인 캠피온의 고향이기도 한 뉴질랜드의 압도적인 자연 풍광과 베네딕트 컴버배치, 커스틴 던스트, 조디 스콧 맥피 등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 그리고 라디오헤드의 기타리스트 출신으로 '팬텀 스레드', '마스터' 등을 통해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선율을 만들어냈던 조니 그린우드의 음악까지 영화관이라는 공간을 통해 호흡해야 그 진가가 더욱 체감되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파워 오브 도그'는 넷플릭스 공개와 함께 국내 극장가에서도 상영이 진행되고 있어 그 온전한 영화적 체험을 할 수 있었다. 두 시간이 넘는 러닝타임 동안 가느다란 끈을 엮어 튼튼한 밧줄을 만들듯 진행되는 서사와 극의 후반부로 갈수록 관객의 몸을 옭아매는 듯 팽팽한 긴장감이 느껴졌고 결말에서는 앞 좌석 등받이까지 쑥 나아간 상태로 탁월하고 놀라운 반전에 탄복하고야 말았다. 토마스 새비지가 1967년에 발표한 소설 '파워 오브 도그'를 원작으로 삼고 있는 영화는 실패한 사랑 이야기라는 씨실과 잔인한 생존의 기록이라는 날실을 엮어 은막을 수놓는다. 영화의 시작 황야에 불어오는 먼지들의 입자처럼 이 영화는 은밀하고 내밀하다. 인물의 내면을 드러내는 방식은 점층적이고 사건을 바라보는 시야는 깊고 넓다. 1920년대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숨기기 위해 부풀린 짐승의 몸짓처럼 과장된 남성성으로 위장한 필은 그의 동생 조지가 로즈와 결혼해 그녀와 그의 아들 피터를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견딜 수가 없다. 섬세하고 유약한 청년 피터를 조롱하던 필은 어떤 사건을 계기로 그에게 다정한 친절을 건네기 시작하고 둘의 관계는 물론이고 조지와 로즈를 포함한 넷의 관계 또한 미궁 속으로 치닫는다. ![]() 극장에서 영화를 봤지만 넷플릭스를 통해 이 작품을 한 번 더 볼 생각이다. 두 번째 감상에서는 인물들의 눈빛을 따라가 볼 생각인데 대사는 많지 않지만 수많은 눈빛들의 엇갈림과 마주침으로 단단한 서사를 만들어낸 작품이기에 새로운 발견들이 있으리라 짐작된다. 아마도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의 다관왕이 되리라 짐작되는 '파워 오브 도그'를 가능하면 스크린에서 인물들의 호흡과 함께 따라가며 관람하시기를 추천드린다. <진명현 독립영화스튜디오 무브먼트 대표>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