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TV 연예
시청자 웃기고 울린 도쿄올림 해설진의 말말말
"공감대 끌어낸 해설 돋보여…중계도 시대 감성에 발맞춰 변화해야"
연합뉴스 기자 hl@ihalla.com
입력 : 2021. 08.08. 15:08:34

2020 도쿄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SBS 중계(왼쪽)와 여자 배구 MBC 중계(오른쪽).

2020 도쿄하계올림픽 속 선수들의 빛나는 활약은 장기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친 국민들을 위로했다.

그 역사적인 순간을 생생하게 전달해온 해설진들의 중계는 시청자들이 올림픽을 한층 더 풍성하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때로는 날카로운 통찰을, 때로는 웃음과 감동을 선사한 이들의 일부 발언은 온라인에서 회자되며 조명을 받기도 했다.'

◇ 해설, 생각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이번 올림픽에서 양궁 해설을 맡은 기보배 KBS 해설위원의 발언은 많은 화제를 모았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한 그는 남자 양궁 단체전 결승에서 큰 부담감을 느끼고 있을 선수들에게 "내가 뭔가 하나 해내야겠다는 쓸데없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라고 조언하며 선수들뿐 아니라 국민들에게도 위로를 전했다.

또 이번 올림픽에서 세 번째 금메달을 거머쥔 안산이 시상대에 오를 때에는 "그동안 흘린 땀과 눈물도 있지만 대한양궁협회의 지원, 지도자의 희생, 정의선 회장님의 양궁에 대한 끝없는 사랑, 국민들의 응원이 있기에 안산 선수의 금메달이 있는 겁니다.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기보배 해설위원과 함께 여자 양궁 경기 해설을 맡았던 강승화 KBS 아나운서의 소신 발언도 조명받았다.

그는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안산이 우승을 차지하던 순간 "여러분은 지금 국가, 인종, 종교, 성별로 규정된 게 아닌 자신의 꿈을 향해 묵묵히 노력한 한 인간으로서의 그 선수, 그 자체를 보고 계십니다"라며 일각에서 제기된 안산에 대한 논란을 꼬집었다.

또 양궁 여자 대표팀의 장민희 선수를 소개할 때는 '여궁사'라는 표현을 '궁사'로 바꿔 읽기도 했다. 강 아나운서는 이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자막이 나왔을 때 굳이 '여궁사'라고 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궁사는 다 같은 궁사이지 않나. 선수는 선수로만 바라봐야 한다. 경기에서 성별은 체급 같은 것이다"라며 생각을 밝혔다.

SBS에서 남편 박경모와 함께 부부 동반 해설로 화제를 모았던 박성현 해설위원은 상대 선수가 경험은 많지만, 금메달이 없다는 이야기에 "메달은 경기와 비례하지 않는다"고 일침을 놓기도 했다.

또 KBS에서 핸드볼의 중계를 맡았던 문필희 해설위원은 "메달은 당연한 게 아니다. 메달을 따는 데까지 큰 노력이 있다"며 결과 이면에 있는 선수들의 땀과 눈물을 상기시키기도 했다.

◇ 해설, 스포츠에 웃음과 감동을 더하다

2020 도쿄올림픽 체조 동메달리스트 여서정의 아버지인 여홍철 KBS 해설위원은 이번 올림픽에서 단연 큰 주목을 받았다.

여서정의 동메달이 결정되는 순간 환호하며 캐스터와 손을 맞잡은 그의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왔다.

1996년 애틀랜타 대회에서 한국 체조 첫 은메달을 선물한 여홍철 해설위원과 한국 여자 체조에서 처음으로 메달을 거머쥔 그의 딸 여서정의 경기 모습을 편집한 영상도 온라인상에서 회자됐다.

이번 올림픽 SBS에서 펜싱 경기를 중계한 원우영 해설위원과 MBC에서 배구를 중계한 황연주 해설위원도 마찬가지다.

2012 런던올림픽에서 김정환, 오은석, 구본길과 함께 팀을 이뤄 남자 사브르 단체전 금메달을 따내기도 했던 원우영 해설위원은 현역 시절 함께했던 선수들이 메달을 확정 지을 때마다 눈물을 흘려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줬다. 다만 그 횟수가 잦아지자 그가 울먹이는 모습은 재미있는 사진으로 회자되기도 했다.

황연주 해설위원은 여자 배구 A조 예선전 한국 대 도미니카공화국의 경기에서 '끝까지 해보자 후회하지 말고'라고 외치는 김연경 선수의 말에 눈물을 글썽이다 결국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KBS에서 배구 해설을 맡았던 한유미 해설위원은 여자 배구대표팀의 4강 진출이 확정되자 울먹이는 목소리로 "원래 스포츠는 경쟁이 아니고 감동이다"라고 말해 진한 감동을 선사했다.

때로는 따끔한 질책도 있었다.

박찬호 야구 해설위원은 지난 7일 도미니카공화국과의 동메달 결정전 중 지고 있는 상황에서 강백호가 더그아웃에서 멍한 표정으로 껌을 씹는 모습이 포착되자 "강백호 선수 모습이 잠깐 보였는데, 이러면 안 된다. 더그아웃에서 계속 파이팅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말해 공감을 얻었다.'

◇ 전문지식에 공감대 더해진 '좋은 해설'

올림픽 해설위원은 기본적으로 해당 종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존재하지만, 그것만이 그들의 존재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해설위원에게는 다른 역할도 많이 있다. 이번 올림픽에서는 얼마나 선수들, 국민들과 함께 감정을 공유하며 공감대를 끌어내느냐 또한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해설이 너무 감정적으로 흐르면 문제가 생기겠지만,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본인들의 감정을 드러냄으로써 공감대를 함께 가져간다면 해설자로서 좋은 자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아쉬운 점으로 남은 부분도 있다.

정덕현 평론가는 "올림픽을 바라보는 대중의 정서는 많이 달라졌지만 중계는 여전히 옛날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시청자들은 승부나 메달 색에 집착하지 않는데 (해설진은) 국가 간 대결 구도나 메달 색을 강조하거나 '태극낭자' 같은 성 인지 감수성이 낮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올림픽에서 이러한 지적들이 나온 것은 그동안 '당연하다'고 여겨졌던 것을 문제화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