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름철엔 대기열 흡수해 도시열섬화 완화도 제주도, 도심 자투리땅에 나무심어주기 추진 제주의 봄을 대표하는 유채꽃과 벚꽃이 만개하며 시선닿는 곳마다 봄향이 한가득이다. 가지만 앙상하던 나무에도 보들보들한 연두빛 새 잎이 나 좀 봐달란 듯이 뾰족이 고개를 내밀기 시작했다. 이렇듯 봄은 절정으로 치닫는데 2020년의 봄날을 집어삼킨 '코로나19'로 평범하던 우리네 일상은 멈춰버렸다. ![]() 초등학교 시절 식목일이면 학교에서 나눠준 나무 한 두 그루를 마당에 심곤 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는 그저 '식목일은 나무심는 날' 정도로 여겼었는데, 요즈음의 나무심기는 지구 온난화로 심해지는 폭염과 몇 년 전부터 불쑥불쑥 찾아오며 우리네 활동반경까지 제한하는 미세먼지를 줄여줄 환경적 가치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각종 개발로 산림면적이 해마다 줄어들고, 특히 도심에선 여름철 따가운 햇볕을 잠시 피할 녹지공간을 찾기가 쉽지 않은 터라 나무의 가치는 더 높아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40년생 나무 한 그루가 흡수하는 미세먼지 양은 연간 35.7g(에스프레소 1잔)에 이른다. 또 나무 47그루가 모이면 경유차 1대가 1년동안 뿜어내는 미세먼지(1680g)를 흡수한다고 한다. 이처럼 도시숲의 나무는 미세먼지를 줄이고, 대기열을 흡수해 한낮 기온을 떨어뜨리는 등 대기정화기능을 한다. 어디 그 뿐이랴? 바쁜 도시민들에게는 근거리 휴양이나 레저공간이 되기도 하다. ▶제주시산림조합 나무시장 개장=그럼 묘목은 어디에서 구입할까? 제주시산림조합은 지난 2월 말부터 제주시 오라동 제주로컬푸드 매장 안에 나무시장을 개장하고 연중 운영중이다. 나무시장에서는 조경수, 유실수, 약용식물 등 100여종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 제주시산림조합이 지난 2월 말 개장한 나무시장에서는 100여종의 묘목과 미세먼지 정화식물을 전시·판매중이다. 문미숙기자 나무심을 공간이 없다면 화분에 키울 수 있는 미세먼지 정화식물인 선인장, 그레이프아이비, 산세베리아, 스킵답서스, 스파티필룸도 있다. ![]() ▶도심 자투리땅에 나무 심어드려요=제주도도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열섬화 완화를 위한 '숲속의 제주 만들기 500만그루 나무심기'를 2019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추진중이다. 도시숲과 학교에 명상숲 조성, 도심지 가로수 정비,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에 대체조림 등 공익조림을 통해 매년 100만그루의 나무를 심어 녹지공간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서귀포시 강희철 공원녹지과장은 "올해 처음 시행하는 사업으로 시민들의 전화문의가 제법 걸려온다"며 "신청기간이 보름정도 남아있는만큼 많은 시민들이 신청해 도심지 자투리땅에 나무를 심어 녹지공간을 만들어가는데 관심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미숙기자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