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하고 있는 '블록체인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화장품 소재·부품 플랫폼사업이 정부의 지원 과제로 선정이 됐다. 이에 따라 제주도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연관산업 육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자치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추진하는 '2020년 국가디지털전환사업 과제 공모'에 '블록체인과 빅데이터(이하 2B)를 기반으로 한 화장품 소재·부품 플랫폼사업'이 최종 과제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국가디지털전환사업은 인공지능(AI)·블록체인 등 디지털기술 기반의 공공분야 디지털플랫폼의 기획·구축을 지원해 민간의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도모하는 공모사업이다. 2020년도 과제 공모에 총 25개 과제사업이 제안됐고 제주를 포함한 4개 기관의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2B 기반 화장품 소재·부품 플랫폼은 제주의 청정자원을 활용한 화장품에 대하여 원물채집에서 판매까지 화장품 생산 전주기 모니터링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데이터의 위조나 변조를 방지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원료의 단계별 이력정보와 유통과정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공유해 관리의 탈중앙화 및 소재의 신뢰성 향상이 가능하며, 이렇게 관리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맞춤형 화장품을 생산하고 생산된 빅데이터를 공유하면서 플랫폼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화장품 원료 이력 및 인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제조과정에 대한 신뢰성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 고객 및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투명한 화장품 유통이력관리 플랫폼이 구축되고 활성화되면 짝퉁(가짜상표) 화장품의 문제 해결과 화장품의 원료관리체계화로 각종 소재 및 부품을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선정으로 제주도는 올해 1차년도 2억5000만원(국비) 규모의 전문컨설팅을 지원받을 예정이며, 2차년도 사업비 30억원(국비) 지원으로 플랫폼 구축 사업을 본격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해 제주시 원도심에 국내 블록체인 기업들의 입주공간인 '혁신창업거점 W360'을 조성했다. 이곳에는 현재 블록체인 관련 3개사 등 7개 기업이 입주해 기업활동을 하고 있다. 또 제주도는 150억원의 제1전략펀드를 조성해 ICT 응용분야· VR· 홀로그램 개발 관련 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160억원 규모의 제2호 전략펀드를 조성해 도내 벤처 기업 등에 투자하고 있다. 전략펀드 제2호는 제주도개발공사와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은행 등 지역재원 20억원, 국비로 조성된 한국모태펀드 90억원, 기타 민간투자재원 50억 등 총 160억원 규모로 결성됐다 제주에서는 현재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시스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시스템은 제주테크노파크 전기차배터리 산업화센터에서 수거하는 폐배터리의 입고부터 각종 검사, 등급분류 및 출고까지 모든 이력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 추적하는 것이다. 노희섭 미래전략국장은 "앞으로도 블록체인등 신기술 기반 신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