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소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일반 시민들이 생활속에서 저감한 탄소를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통해 데이터화하고 블록체인으로 저장, 거래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김명현 미래에셋 멀티에셋자산운용팀장은 20일 오후 메종글래드제주 크리스탈홀에서 열린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연계 그린이노베이션'포럼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각 기업체는 할당받은 탄소배출권 내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해야 하며, 여유분 또는 부족분을 한국거래소 및 장외거래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지난 2015~2016년 장내 탄소배출권 거래량은 국내 할당 배출권 5억3206만t의 5% 미만에 그쳤다. 이는 기업들이 할당배출권(KAU)을 최대한 보유하려 한데다 외부사업 인증 등을 통해 확보한 상쇄배출권(KCU)을 정부에 제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김 팀장은 탄소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하는 방안 중 하나로 에너지를 생산·저장·변환·사용하는 에너지 밸류 체인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개인 및 일반사업자도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에 참여토록 하는 안을 제시했다. 개인 및 일반사업자가 전기차, 태양광발전 등을 통해 줄인 탄소배출량을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통해 블록체인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들이 저감한 탄소배출량을 펀딩화해 탄소거래인증기관으로 등록된 '그린 블록체인 거래소'와 탄소배출권 거래소인 한국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김 팀장은 블록체인 기술이 거래기록 수정이 어렵고 보존성이 높아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봤다. 김 팀장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신뢰성 있게 측정 수집된 탄소저감활동을 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하고 이를 판매하게 된다면 탄소배출량 감소는 물론 수익 재분배로 시민복지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노영구 체인스아카데미 대표의 '블록체인과 일자리', 김대영 제이엔유 그룹회장은의 '싸이클린플랫폼'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