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름다운 수중경관과 사진촬영 소재 가득 사각·육각형 주상절리 직벽에 해조류 눈길 제주시 용담해안도로에 있는 어영마을 앞 바닷속은 한라산 영실계곡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해양탐사대는 지난 8일 오전 제주바다하늘 신용철 강사의 안내로 배를 타고 제주국제공항 뒤편에 있는 사수항을 출발해 북쪽으로 약 1.5㎞ 떨어진 제주시 어영마을 앞 해역으로 향했다. 탐사 포인트에 도착하자 수면에 표시 부이가 설치돼 있었고 잠수장비와 수중카메라를 준비해 잠시후 부이를 따라 수심 17m 바닥으로 내려갔다. ![]() 사각형과 육각형으로 이뤄진 주상절리 직벽에는 각종 해조류들이 부착해 서식하고 있었고 주상절리 사이에는 연안성 어종으로 연안 얕은 바다의 암초 사이에 서식하는 우럭볼락이 몸을 숨기고 낯선 방문객을 주시하고 있었다. ![]() ![]() ▲제주시 어영마을 주상절리 직벽에는 각종 해조류들이 부착해 서식하고 있고, 연안 얕은 바다의 암초 사이에서 서식하는 우럭볼락 등을 만날 수 있다. 사진 위 해상 원 표시는 어영마을 포인트. 사진=해양탐사대 인근에 있는 또 다른 주상절리 직벽에는 여러가지 부채산호들도 부착해 있었다. 이 곳 주상절리 주변에는 약 1~2m 크기의 암반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비교적 완만한 해저지형으로 형성돼 있었다. 암반 위로는 감태 등 다양한 해조류가 부착해 있었고 암반사이에는 소라와 용치놀래기 등 정착성 어류들이 서식하고 있었다. 은색의 치어떼들이 수시로 탐사대 곁을 스쳐 지나갔다. 이처럼 이곳 주상절리 포인트는 다이버들에게 아름다운 제주의 수중경관 감상과 더불어 사진촬영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간직하고 있었다. ![]() 신 강사는 이어 "현재는 주상절리 포인트에 수지맨드라미연산호가 하나만 부착해 있어 연산호에 대한 볼거리는 빈약하지만 앞으로 수온상승 등 영향으로 수지맨드라미류와 부채꼴산호류가 늘어나면 다른 곳 못지 않은 좋은 스쿠버다이빙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신 강사는 아울러 "제주바다에 백화현상이 늘어나고 있어 어민들이 크게 위협을 받고 있는데 현재 마을어장에 늘어나고 있는 산호를 관광자원화해 활용하면 이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신 강사는 이와 함께 "이 곳 주상절리 포인트는 다이빙을 해서 25분 정도면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면서 "조류가 그다지 빠르지 않아 다이빙 초급자들도 어렵지 않게 즐길 수 있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고대로·최태경기자 <저작권자 © 한라일보 (http://www.ihalla.com) 무단전재 및 수집·재배포 금지 > |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