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치/행정
"구상나무 보존 공감대 확산 필요"
김찬수 박사, 도의회 기후변화 정책토론회서 주장
관련 부처 협의체 구축·기관간 융합연구도 강조
강시영 기자 sykang@ihalla.com
입력 : 2013. 10.02. 00:00:00

▲김찬수 박사가 1일 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라산 구상나무 보전 대책 토론회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 강경민기자

대량 고사되고 있는 한라산 구상나무의 체계적 보존을 위해 도민적 공감대를 넓히고 관련 부처간 협의체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제주 고산식물자원들의 보호를 위해 가칭 '위기식물보전포럼' 창립이 제안됐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기후변화대응 녹색성장 발전 연구회'(대표의원 허진영)는 1일 오후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한라산 구상나무 보전대책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한국특산종인 한라산 구상나무가 태풍과 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마다 대량 고사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됨에 따라 마련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김찬수 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기후변화가 제주도 육상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종 다양성의 변화를 비롯해 하부에 위치한 식물들의 고지대 이동으로 고산성 식물들의 자생지 축소, 구상나무림과 관목림의 축소, 상록 수림대의 확장, 열대다우림의 특징 출현 등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김 박사는 2000년부터 한라산 구상나무 보존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1만본을 생산해 서귀포 소재 국립산림과학원 시험림에 보존원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박사는 "한라산 구상나무 자생지는 천연보호구역, 국립공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어서 종자와 접수, 삽수 등 증식재료를 채취하거나 복원관련 현장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증식 기반 조성에 장기간 소요되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책으로 구상나무 보존에 관한 도민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제주자치도와 문화재청, 환경부, 산림청 등 관련 부처간 협의체와 제주도내 관련기관간 융합적 연구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가칭 '위기식물보전포럼'을 창립해 구상나무의 보존 및 가치선양에 대해 연구하고 기후변화로 위기에 처한 고산식물자원 전반으로 영역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론회에서는 주제발표에 이어 홍용표 박사(국립산림과학원), 고정군 박사(한라산연구소), 현승철 팀장(한라산국립공원사무소), 고평열 박사(제주특별자치도의제21협의회), 김호천 기자(연합뉴스)의 지정토론이 이어졌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