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사설
[사설]육·해상 케이블카 논란 언제까지…
입력 : 2010. 01.19. 00:00:00
비양도와 한라산 케이블카에 대한 논란이 다시 수면(水面) 위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검증결과가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비양도 케이블카사업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보완서가 최근 제주자치도에 접수됐다. 이에 따라 도는 1월 중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사업추진 여부 등을 밝힐 예정이다. 협재와 비양도를 잇는 해상케이블카 개발사업은 환경영향평가서 초안(草案)이 밝혀지자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켰었다.

당시 잠정적인 결론은 경관자원과 생태환경에 심각한 영향이 불가피해 사업추진과 관련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 '찬성'보다는 '반대'가 많아 협재~비양도 케이블카는 물 건너간 듯 했지만 개발사업자인 (주)라온랜드가 초안에 대한 보완자료를 제출함으로써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찬반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는 한라산 케이블카(로프웨이)도 태스크포스팀의 검토결과가 늦어도 설 이전에는 제시될 전망이다. 그간의 쟁점(爭點)은 코스의 적정성과 경관 및 생태환경 영향정도, 기상과 경제적 타당성 등으로 집약된다. TF팀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작업까지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두 가지 사업은 개발주체와 공간이 엄연히 다른 사항이다. 하지만 제주 천혜의 자연환경과 관련되고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된 사안이란 유사성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특히 지난해 확정 공고된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및 관리계획'의 첫 시험대란 점에서 향후 결과 및 제주자치도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는 것이다.

개발과 보존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그만큼 판단 또한 쉽지 않은 게 사실이며 폭넓은 의견수렴은 필수적이지다. 그렇다고 예전처럼 질질 끌기엔 너무나 역량 소모가 크다. 끝없는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제주자치도는 가부(可否)간 단안을 내려야 한다. 그게 행정의 몫이다.
이 기사는 한라일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halla.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webmaster@ihal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