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무직 제주지부는 "올해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도 예년과 같은 임금인상을 요구하진 않는다"며 "이에 수차례 수정 양보안을 제시하며 원만한 교섭타결을 촉구했다. 하지만 사용자인 교육청은 최초 제시안에서 한 발도 나가지 않고 버티며 노조를 파업으로 내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조의 핵심 요구는 명절휴가비, 식대, 복지포인트 같은 복리후생의 차별 해소"라며 "이러한 복리후생성 임금은 법리적으로도 차별해서는 안된다. 같은 교육청 소속 직원이면 누구나 동일하게 지급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주도교육청 앞에 설치된 농성장.
교육공무직 제주지부는 "집단교섭 후 두 달 가까이 지났다. 오늘부터 무기한 농성에 돌입하고 만약 상식적인 교섭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2차 돌봄파업에 이어 3차는 전 직종 총파업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며 "향후 코로나19로 막무가내 0.9%만 고집한다면 총파업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