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청소년들이 함께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 2019-09-14 15:39 )
  NAME : 강혜진   |   HOM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신성여자중학교 3학년 강혜진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무장대의 무장봉기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장대와 정부 사이에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4월 3일, 우리 학교 전 교실에 제주 4·3 71주년 추념식 방송을 틀어주었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중하지 않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또한 평소에 4·3 관련 행사나 4·3 교육에 관심을 보이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보기는 어려웠다. 매년마다 4·3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왜 4·3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지 생각하다 우리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4·3에 대해 ‘조금 안다’는 의견이 53%로 4·3에 대하여 알고는 있으나 자세히는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에만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81%로 이는 4·3 교육이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제주도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3교육의 방향을 묻는 질문에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만이 아닌 평소에도 주기적으로 실시되기를 바란다’가 51%였고, 이어 ‘4·3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76%였다. 이처럼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서만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4·3교육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2019년 4·3 평화·인권 교육 주간 운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8년 초·중·고등학교에 4·3 평화·인권 교육 교재가 보급되었으나 그 교재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2019년에는 교재 보급이 홈페이지 탑재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을 통해 4·3에 대한 지식을 얻기에는 시수가 부족하였고, 전도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일된 하나의 교육이 아니며 각 학교마다 다른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평화·인권 교육 교원 직무연수가 도내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는 등 교원 교육 운영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교육을 받는 주체인 학생들이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4·3을 알아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제주도내 초·중·고등학교를 모두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 ‘90%’, 중학교 ‘96%’, 고등학교 ‘82%’ 가 4·3 관련 상설 게시판이 없다는 점과 3~4%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학교에 교내 4·3 관련 동아리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첫째, 제주도내 중·고등학교에 4·3 상설 게시판 설치와 ▼둘째,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의 개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계속해서 학생들에게 4·3을 알릴 수 있고 제주 청소년 4·3 탐구 연합동아리에서 게시판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4·3을 알리는 주체가 어른들뿐만 아니라 청소년들도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은 우리나라의 역사이며 그 역사를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위와 같은 정책들을 발판 삼아 앞으로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4·3에 대해 잘 알고 4·3을 가슴 깊이 기억하길 바란다.
  SI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