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이 주는 여유를 느껴보자.   ( 2017-08-29 13:54 )
  NAME : 제주시관광진흥과   |   HOME : http://
1503982473.hwp ( size : 21.61 KB / download : 34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천체관측을 위해 천문대를 방문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보면 크고 가깝게 보기를 기대하지만 지구에서 크게 관측되는 대상은 태양과 달 뿐이다. 행성들은 각자의 개성들을 확인 할 수 있을 만큼은 보이지만 그 크기는 충분히 크지 않으며, 그 외의 별들은 모두 점으로 관측이 된다. 이러한 사실은 기대하고 온 일부 사람들에겐 다소 생소하다. 태양계 탐사 위성들 중, 뉴 호라이즌스호는 2015년 7월, 134340플루토(예전 명왕성)를 근접촬영 하는데 성공했다. 그곳까지 도달하기 위해 태양계를 9년 동안 비행 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태양계는 참으로 거대하다. 그렇다면 태양계 너머 다른 별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멀까. 별에서 빛이 우주 공간을 거쳐 지구로 도달하여야만 비로소 우리는 그 별을 관측할 수 있다. 밤하늘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는 4.3광년이므로 그 너머의 우주가 얼마나 광활한 것인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아득해진다. 넒은 우주의 별들을 다른 방법으로 바라보자.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별은 각자의 표면 온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자. 낮은 온도의 별일수록 더 붉은색으로, 높은 온도의 별일수록 더 푸른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우리는 망원경을 통해 형형색색의 별들을 볼 수 있다. 이로서 우리는 별들이 작게 보인다 해서 실망할 필요가 없어진다. 비록 그 크기는 작지만 다양한 색으로 반짝이는 작은 보석 같은 별들을 관측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주목해야할 점은 별의 개수이다. 별의 먼 거리 때문에 망원경으로 별을 보면 눈으로 보는 것보다 그 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두칠성의 별이 일곱 개가 아니라는 점이 가장 대표적인 사실이다. 더불어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에서는 우리은하 안에 약 천 억 개의 별이 있다고 소개한다. 하지만 우리 눈으로 그 천 억 개의 별을 다 찾을 수 없는 이유는 빛이 희미하거나 아직 지구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거대 망원경을 이용하여 텅 빈 밤하늘의 희미한 빛을 찾아 관측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천문대에서 밝은 별을 관측할 때 그 별 주변의 희미한 별들이 얼마나 보이는지 찾아보는 것도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고 별 관측을 한다면 보다 뜻깊고 풍부한 천체관측이 될 것이다. 밤하늘이 맑은 날,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하늘을 올려보자. 일상생활에서 생기는 고민과 걱정은 어쩌면 이 넓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여유를 가지고 밤하늘을 올려보며 스스로에게 숨 고를 수 있는 여유를 가져보자.
  SI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