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2022-04-02 13:04
임승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기후변화 대응의 시대에 나무를 심자.

잊혀져 있던 미세먼지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해 첫 미세먼지 비상 저감 조치가 시행되었다.
요즘 미세먼지는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위험 단계를 넘어 우리 생활에 공포로 다가오고 있다. 덕택에 기후변화와 미세먼지에 대한 전 국민적 관심 역시 높아지는 계기가 됐다.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에는 수많은 먼지가 떠다닌다. 이 가운데 초미세먼지는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배출할 때 주로 발생한다. 지름 10㎛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 부르고, 미세먼지 중 지름 2.5㎛ 이하의 먼지를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정책과 규제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함께 행동으로 실천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미세먼지는 결국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하므로 다소 불편하더라도 에너지 절약, 대중교통 이용, 일회용품 사용 절감과 같은 실천을 해야 한다. 맑은 공기, 깨끗한 환경 유지는 우리의 '의무'이자 도민의 건강을 지키는 유일한 길이다.

미세먼지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려워졌다고 환경 탓을 할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해 삶의 터전인 지구, 환경과 공생하는 것만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남의 탓만 하거나 남이 해결해 줄 때까지 잠자코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라도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친환경 생활을 실천하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 녹색 생활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만 한다.

탁한 하늘빛을 맑고 푸르게 되돌리는 일은 나무 한 그루 더 심는 데서 출발한다. 나무를 심고 숲을 만드는 일은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열섬, 폭염 현상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애써 가꾼 숲을 보호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 그루 나무로 천 개비 성냥을 만들 수 있지만, 천 그루 나무를 태워버리는 건 성냥 한 개비다'라는 격언을 되새겨 볼 일이다.

케냐의 환경운동가 왕가리 마타이가 “나무는 행동의 상징이다. 내일 당장 변화가 오지 않더라도 약간의 차이는 분명 생긴다. 작은 차이의 첫걸음은 나무를 심는 것이다”라고 말했듯이 나무를 심는 것은 미래를 심는 것이다. 나무 심기의 골든 타임은 미래가 아닌 바로 현재이다.

미세먼지 걱정 없는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은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미세먼지 감축과 탄소 중립을 위한 제주도의 정책이 성과를 거두려면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임승현

No 제목 이름 날짜
3196 행복농촌 만들기 문자투표  ×1 고기봉 08-15
3195 "아직은 할 일이 많아서 못간다고 전해라~~!  ×1 임용국 08-11
3194 표선119센터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조성돈 08-10
3193 성안노인복지센터 sk그룹 후원 어르신 무료급식 지원  ×2 이경자 08-03
3192 지속가능 제주환경 전문가 양성교육을 수료하면서  ×1 ×1 신동화 08-02
3191 환경문제,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1 고기봉 08-02
3190 골목점포들도 골목형상점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1 ×1 문원영 08-01
3189 선진국으로의 길, 무장애 길과 맞닿아 있습니다.  ×1 ×1 (주)두리함께 트레블 헬퍼 김영근 07-29
3188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7월 초…  ×1 서귀포YWCA 07-20
3187 정신장애인 대상 “건강 돌봄 프로젝트-찬찬이 건강 살림”사업진행   ×1 공생하우스 07-18
3186 성산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안정호  ×1 ×1 김정호 07-18
3185 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1 (사)서귀포시4-H본부 회장 고성봉 07-15
3184 선박화재 항상 대비 이뤄져야  ×1 고기봉 07-12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