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2022-03-30 22:21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Homepage : http://)
|
|||
이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회용기와 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 컵 사용량이 갑작스럽게 늘어나면서 환경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급증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는 4월 1일부터 일회용품 금지라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시행을 가동한다. ‘제로 웨이스트’란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려는 캠페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4월부터 시행되는 일회용품 금지는 제대로 홍보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확산세가 그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방역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영업자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식이 아니냐는 비판의 우려도 담겨있다. 마이클 조던은 “장애물을 만났다고 반드시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벽에 부딪힌다면 돌아서서 포기하지 말라. 어떻게 벽을 오를지, 벽을 뚫고 나갈 수 있을지, 또는 돌아갈 방법은 없는지 생각하라.”라는 말을 건넨다. 코로나19라는 장애물을 만났다고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그대로 보고만 있는 게 아니다. 오염을 막기 위해 벽을 부딪치고,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이 다 같이 책임을 가지고 해결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 환경을 살리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원만히 활성화가 되려면 정부는 적극적인 홍보에 힘써야 한다. 또한 혼란을 감소할 수 있는 정확한 지침을 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시민들은 일회용품을 사용했다고 해서 안전하다는 공식을 버리고 일회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품목과 규제대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품목을 점진적으로 수용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나가야 한다. 모두가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이고 책임을 지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정부, 기업, 시민은 환경보호를 위해 변화에 적응해나가야 한다. 주위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친환경 활동부터 참여하면서 현세대뿐만이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하여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점이다. |
|
사람 살지 않는 제주 농어촌 빈집 1100호… "많다 많아"
900억 들인 설문대할망전시관 또 90억 투입 '돈 먹는 하마'
"제주산 햇마늘 사세요"… '수급 불안'에 대대적 판촉전
제주 총선 출마예정자 현수막 홍보 놓고 ' 신경전'
[종합] 이도초등학교 옥상 화재 학생들 긴급 대피 소동
제주해경 총기 오발사고 낸 경찰관 검찰 송치
제주 농지법 위반 이행강제금 납부 '버티기?'
[사설] 코로나 확진자 급증… 격리 권고 준수해야
제주 이도초등학교 옥상 화재… 학생들 긴급 대피
[고영림의 현장시선] 제주국제대를 제주도립전문대학원으로…
제주지역 건설업체 해외 진출 가능할까
제주지방 자외선 강한 주말.. 낮 최고기온 28℃
KBO리그 LG·키움·NC 3명씩 항저우행 '최대 변수'
제주4·3 단체 "조병옥 호국보훈 인물 선정 철회…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9일 제주뉴스
여름 휴가철 제주 관광 물가 안정화 추진
[영상] 2023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수월봉 지질트…
성폭행 혐의 몽골 만달시 부시장 구속 송치
제주 여자유도 대들보 이현지 ‘승승장구’
"가로수 식수대 개선사업 오히려 나무 생육에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