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과 공감으로 하나되는
2021-12-10 06:58
제주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소통과 공감으로 하나 되는 탐라문화광장이 되길 기대하며…

-우리들의 추억의 장소 탐라문화광장, 앞으로의 모습은?-


광장은 종교·정치·사업·생업·사교 등의 이루어지는 곳으로 시민들이 사회생활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광장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산지천이라 불리던 제주시 동문 로터리의 탐라문화광장은 어린 시절 나와 많은 아이들의 소통과 공감으로 하나가 되는 추억의 장소이기도 하다.

눈을 감고 그때를 떠올려보면 광장의 음악 분수대에서 나오던 ‘감수광’과 팝송 ‘I feel good’은 아직도 귓가에 생생히 들리는 듯한 느낌이다.

하지만 지금의 탐라문화광장은 그때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텅 빈 광장과 광장 구석진 곳에 노숙인들의 노상 음주와 고성방가, 노상 방뇨로 몸살을 앓고 있어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 옛날 여름밤, 저녁 식사 후 각자 집에서 수건을 챙기고 부모와 함께 나온 아이들이 하나둘씩 광장에 모여, 처음 보는 사이끼리도 웃으며 함께 그 안에서 물을 맞고, 음악 ‘I feel good’을 끝으로 분수가 모두 끝나면 다시 각자의 부모 곁으로 돌아가 젖은 몸을 닦아내고 몸에 수건을 두른 채 부모와 함께 행복하게 귀가하던 그 아름답고 따듯했던 장소가 이제는 시민들에게 우범 지대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안타까운 현실이다.

관광지이자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던 탐라문화광장이 어찌하여 이렇게 되었을까. 또 지금의 텅 빈 광장은 대체 누굴 위해, 무엇을 위해 이렇게 베어진 상태로 방치되어있는 걸까. 동네 주민으로서 항상 안타까웠고, 궁금했다.

하지만 노숙인들의 노상 음주와 고성방가 등으로 몸살을 앓아왔던 제주시 탐라문화광장과 산지천 일대가 내년부터 건전한 음주문화 환경조성에 관한 조례 개정으로 금주 구역으로 지정된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주민이 편하게 만남과 소통의 상호작용이 활발할 때 관광객도 증가한다. 만들고 꾸민다고 모두 광장이 되는 것은 아닐지 모른다. 관광객과 지역주민들이 안전히 다닐 수 있도록 무질서 행위 근절에 더욱 매진하여 탐라문화광장을 되살리는데 행정과 전문가, 정치권, 주민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나에게도 그랬지만 많은 이들에게도 행복했고 즐거웠던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던 장소로 다시 돌아갈 수 있게끔, 또 앞으로 광장을 찾을 사람들에게 좋은 추억을 선사할 수 있을 장소로 다시 자리매김하였으면 정말 좋겠다.
현대인 누구나 일상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여유와 즐거움을 누리고 싶다. 탐라문화광장이 관광객과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활력과 행복의 플랫폼이 되면 좋겠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양지혜

No 제목 이름 날짜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
3104 (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1 ×1 김성봉 03-24
3103 제주 도내 방치 렌터카 현재 상황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서행환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