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이 보장되는 특수교육의 필요성
2021-12-09 09:29
강권식 (Homepage : http://)
(안전이 보장되는 특수교육의 필요성).hwp ( size : 82.00 KB / download : 8 )
안전이 보장되는 특수교육의 필요성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은 장애로 인하여 학습 및 신변 처리 등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적절한 지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경우가 많고, 마스크 쓰기와 손 소독 등의 방역 수칙을 스스로 지키기도 어려운 편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상황에서 학생들을 학교에 보내는 학부모님들의 마음은 불안감이 클 것이다.
특수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일반학교에 비해 현저히 적으나,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이 각기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이들을 지도하고 지원할 인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수학교의 보조인력은 특수교육실무원, 유급자원봉사자, 사회복무요원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학생들의 등교 시간부터 하교 시간까지 함께 생활하는 보조인력은 특수교육실무원뿐이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내 특수학교의 특수교육실무원은 45학급인 제주영지학교 25명, 32학급인 제주영송학교 18명, 24학급인 서귀포온성학교 15명으로 특수교육실무원 1명이 7~9명 이상의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한 학급당 1명의 특수교육실무원도 배치되지 못함을 얘기하는 것이며, 이 부족한 부분을 전문성과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유급자원봉사자와 사회복무요원으로 메꾸는 것은 학생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점차적으로 한 학급당 1명 즉, 유치원 과정은 학생 4명, 초등학교 과정과 중학교 과정은 학생 6명, 고등학교 과정은 학생 7명에 특수교육실무원 1명이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장애의 중도중복화로 인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학생들은 생활연령이 높아지면서 신체가 커져 통학버스 승하차 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학생을 안아서 승하차 시키는 교사나 보조인력도 힘들지만 자칫 학생의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탄 학생이 통학버스 승하차 시 겪는 어려움을 덜기 위해서는 통학버스를 리프트 차량으로 교체해야 한다.
리프트 차량은 특히 통학버스 좌석에 앉아서는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중증 뇌병변장애 학생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차량으로, 휠체어에 앉은 채로 승하차 및 이동을 할 수 있어 교사나 보조인력의 부담을 덜고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각종 대회나 입시에서 큰 성과를 얻는 것만이 교육은 전부가 아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이든 일반학생이든, 모든 학생이 학교라는 안전한 울타리에서 유청소년기를 행복하게 보낼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우리 어른들이 할 일이다.

전) 제주영송학교 교장 강권식

No 제목 이름 날짜
3127 일자리가 가져다준 행복  ×1 염옥란 04-26
3126 일상생활 사고 피해, ‘도민안전보험’으로 보상 받으세요  ×1 ×1 제주시 안전총괄과 김성수 04-26
3125 전쟁으로 주목받는 농업의 중요성  ×1 ×1 비밀글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04-25
3124 개발,무관심에 사라지는 용천수제도 개선 필요  ×1 기봉 04-25
3123 삭제 비밀글 삭제 04-22
3122 소상공인의 든든한 퇴직금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하세요   ×1 문원영 04-21
3121 출력제어, 분산에너지 그리고 에너지 분권  ×1 ×1 오정헌 04-21
3120 4월 22일 자전거의 날 “자전거로 제주를 지켜요!” 소중한 지구를 지키는 …  ×1 강태욱 04-20
3119 대학의 위기, 제주의 위기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8
3118 [기고] 확산이 끊이지 않는 불법광고물  ×1 ×1 오라동주민센터 김건 04-18
3117 코로나19시대, 힐링 제주는 산불예방으로 부터...  ×1 도 세계유산본부 비자림관리팀장 하성현 04-13
3116 지구의 날,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부터  ×1 ×1 임지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4-12
3115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개선 교육 시민대상 교육 참…  ×2 서귀포YWCA 04-11
3114 [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1 ×1 남원119센터 오봉근 04-10
3113 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1 ×1 양희진 04-06
3112 일회용품 없는 제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고민희 04-06
3111 어른들은 주차장을 만들겠죠  ×1 ×1 비밀글 홍라원 04-05
3110 한라산탐방로 쓰레기종류  ×1 ×1 김용훈 04-04
3109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이제는 행동할 때!  ×1 임승현 04-02
3108 나무심기, 기후변화 대응의 시작  ×1 김은지 04-01
3107 코로나19로 늘어난 환경오염의 주범, 플라스틱 폐기물은 누구의 책임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민지 03-30
3106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03-27
3105 비양도습지생태학교에 초대합니다.   ×1 생태교육허브물새알 03-25
3104 (기고)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이유  ×1 ×1 김성봉 03-24
3103 제주 도내 방치 렌터카 현재 상황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서행환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