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농약 사용 과연 안전한가
2021-05-26 18:05

원본 이미지 보기
최근 언론이나 인터넷을 통해 농산물과 관련하여 농약에 대한 정보가 종종 등장하고 있다.
농약은 잡초, 세균, 해충으로부터 농산물을 보호해주고 생산물의 품질과 생산량을 높여주기 위해서 거의 모든 농가에서 필수적으로 사용 되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명한 DDT나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고엽제 살포로 인한 피해를 입힌 에이전트 오렌지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농약이 농작물에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농산물에 대하여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사람에게 유통되는 농산물에서 검출되는 농약의 양은 일일섭취허용량의 1%도 안되는 매우 적은 양에 불과하고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도 적어서 잔류농약으로 인해 사람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

하지만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잘 지켜진 유통되는 농작물을 먹는 인간은 안전할지 모르지만 농약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작물과 지하수를 먹은 동물의 몸에 계속해서 유해물질이 쌓이게 된다.
지하수를 먹은 동물을 인간이 다시 먹게 되면 농작물에 남아있는 잔류농약과 관련된 농약잔류허용기준과 관계없이 사람의 몸에도 유해물질이 쌓이는 악의 순환을 반복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농약을 먹은 동물이나 식물이 죽으면서 그것을 먹이로 하는 생물도 죽으면서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최근 힘을 얻고 있는 농약을 대신해서 해충의 천적을 이용하거나 생리물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해충관리를 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이용하면 친환경 농산물 생산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No 제목 이름 날짜
3024 열려라, 공익활동 공간  ×1 김현(제주공익활동지원센터) 11-18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
3003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일자리를 통해 나의 노년의 즐거움을 찾다  ×2 가순열 10-28
3002 서귀포YWCA 평화아카데미 현장탐방 진행  ×1 서귀포YWCA 10-27
3001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 제주문화진흥재단 역사문화자돌봄센터 10-27
3000 비대면 디지털 건강관리 집중  ×1 ×1 오미옥 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