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2021-05-18 11:05
고기봉 (Homepage : http://)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기고).hwp ( size : 32.00 KB / download : 3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살아 숨쉬는 바다, 해양 쓰레기 줄여야 바다가 산다.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가정의 달 5월의 마지막 날은 ‘바다의 날’이다. 바다의 날은 해양산업 종사자들에게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주고, 국민들에게 해양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1996년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즉 하루라도 빨리 바다의 소중함을 깨닫고 소중하게 여기자는 의미에서 바다를 되새겨보는 날이다.
인류의 역사는 석기, 청동기, 철기와 같이 그 시대를 대표 하는 도구로 구분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훗날 어떻게 기록될까 ?  아마도 플라스틱기 (Plastic Age) 라고 부르지 않을까 싶다.
 
미국 제니퍼 브랜든 박사 연구진이 캘리포니아 연안의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1945 년 이후 플라스틱 퇴적물의 양이 15 년마다 약 2 배씩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밝혀 냈다. 이는 지난 70 여 년 동안의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 증가량과 거의 일치하며 , 방대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쌓이고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분해되지 않아 바다 생태계를 서서히 파괴한다. 오염된 어류를 먹음으로써 우리 인간 역시 건강을 위협받는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해양영토가 육지 면적의 4.5배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바다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어민들은 이른 새벽부터 넓고 푸른 바다로 조업을 나가 그물, 통발 등 다양한 어구를 사용해 조업을 하고 어획물을 수확해 육지로 돌아온다. 그런데 이러한 조업활동에서 폐어구등에 물고기가 걸려 죽는 유령어업(ghost fishing) 으로 인해 우리나라 연간어획량의 10%에 해당하는 3,800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5mm 미만의 크기로 잘게 부서진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에게도 잠재적인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바다로 들어온 플라스틱 쓰레기는 길게는 500년간 썩지 않고 해양환경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준다. 폐어망과 로프가 선박의 엔진에 감기면서 기관고장으로 좌초, 침몰 등 대규모 해양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사고 선박으로부터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양오염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바다를 손상시키면 하루 세 끼 우리의 밥상에서 김, 미역, 생선 등의 먹거리들이 사라질 것이며, 지구 전체 동식물의 80% 이상이 살 수 없게 될 것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해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는 등 우리 바다를 지키는 작지만 소중한 실천에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시간강사 고기봉 행정학 박사

No 제목 이름 날짜
2966 청소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자율동아리'  ×1 우리동네지역아동센터 07-26
2965 함께 하면 행복해요!  ×1 고기봉 07-19
2964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도서산간 거주 신장장애인들에게 찾아가…  ×2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07-19
2963 이팔청춘실버학당, 한림읍 신청사 개소 식전공연 참여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13
2962 친환경 전기농사의 모습  ×1 ×1 비밀글 강용권 06-29
2961 한라일보의 불법도촬 고경찬 06-28
2960 서부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하는 다문화학교, 제주어도 배우고 다문화도 알…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6-24
2959 사회적 건강을 위한 백신 '치유농업'  ×1 고기봉 06-24
2958 아파트 단지 내 소방출동로를 열어 주세요!  ×1 ×1 화북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희 06-23
2957 탄소중립을 위한 자전거 페달을 밟아요!  ×1 김희연 06-22
2956 연동119센터 기고문 1초와의 사투  ×1 임찬식 06-18
2955 1초와의 사투  ×1 ×1 연동119센터 06-17
2954 “다문화가정 자녀가 겪는 어려움”  ×1 비밀글 위연주 06-16
2953 제주도 교통문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공공자전거  ×1 비밀글 현도연 06-14
2952 우리, "용기를 내어 볼까요?" 김희망 06-14
2951 (기고)도민이 꿈꾸는 쓰레기 걱정없는 제주  ×1 이희남 06-14
2950 환경차 전환 탄소중립 사회의 주춧돌  ×1 비밀글 고기봉 06-13
2949 코로나19와 환경교육 - '코로나'로부터 환경을 지키자  ×1 고수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6-13
2948 [기고] 작은 실천으로 줄일 수 있는 의료폐기물  ×1 진수빈 06-13
2947 환경 보호, 지금 우리에겐 선택 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  ×1 강채연 06-12
2946 그린 투어리즘과 6차 산업, 제주 도약 발판 마련  ×1 양인헌 06-10
2945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량 늘어나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2944 후안무치  ×1 강방수 06-09
2943 탄소중립시대에 우리는  ×1 양현정 06-09
2942 도로 위에 무법자 전동퀵보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아라 06-08